-
[db] 하둡이란
서론 빅데이터 시대에 접어들면서 여러 AI 관련 용어와 빅데이터 관련 용어나 기술들을 접하는 일이 많아졌다. 그 중 하나인 하둡에 대해서 그 자세한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. 하둡이란? 빅데이터분석이 쉬워진것은 하둡(Hadoop)이 개발되면서 부터이다. 하둡은 대용량 데이터를 적은비용으로 더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며, 빅데이터 처리와 분석을 위한 플랫폼 중 사실상 표준으로...
-
[css] display flex (4)
서론 <hr> 이전 포스팅에 이어 flex style에 대해 깊게 알아보도록 한다. 정렬 flex-item 들을 정렬하는 방법에는 주축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법과 수직축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법이 있다. 주축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법 flex-container에서 justify-content 라는 속성값으로 정렬할 수 있다. 해당 속성에 어떤 타입의 값을 주느냐에 따라 flex-item들이 container 안에서 어떤식으로 정렬될지 정의해줄 수...
-
[css] display flex (3)
서론 이전 포스팅에 이어 flex style에 대해 깊게 알아보도록 한다. flex 키워드 flex 속성은 3가지의 속성을 포함한 하나의 큰 단위의 속성이라 할 수 있다. 지난 포스팅에서는 flex: 1 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번에는 다른 키워드 값들의 의미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. flex flex-grow flex-shrink flex-basis initial(기본값) 0 1 auto none 0...
-
[css] display flex (2) 레이아웃
서론 이전 포스팅에서 알아본 display: flex 타입에 대해 다양한 예시들과 함께 디테일한 속성값의 사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. flex-direction flex-direction 속성은 container 영역의 속성값으로 flex- item들의 주축 방향을 결정짓는 값이다. 표현할 수 있는 값에는 row : 가로에서 세로 column : 위에서 아래 이렇게 2가지 값이 올 수 있다. flex flex 값은...
-
S2i를 활용한 openshift 클러스터 앱 배포
S2I 란? S2I (Source-to-Image)는 소스 코드로부터 컨테이너 이미지를 빌드하기 위한 툴킷과 워크플로우입니다. S2I는 소스 코드를 컨테이너 이미지에 삽입하고 컨테이너가 해당 소스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를 준비시켜 즉시 실행 가능한 이미지를 생성합니다. 즉, 소스 코드를 Git과 같은 소스코드 레퍼지토리에 push 하여 업데이트하게 되면 일련의 과정을 거쳐 OpenShite 상에 실행중인 앱에...